서평
우리에게 '희망'은 존재하는가?
세상이나 현실을 바라볼 때 좌절하게 됩니다. 언제 세상이 옳은 방향, 좋은 방향으로 변화될지에 대한 기대까지 사라지게 만듭니다. 여전히 세상은 잔혹하고, 전쟁은 끊이지 않습니다. 우리의 일상에서도 각자의 이익을 위해 상대방의 사소한 실수는 크게 부각시키며, 자신의 잘못에는 관대합니다.
자본의 노예가 되어버린 사회는 새로운 계급이 형성됩니다. 사회적 제도로 인한 계층 구조는 아니지만, 부자와 가난한 자의 위치는 점점 더 멀어집니다. 가진 자는 현대 사회에서 더 많은 힘을 얻고, 그 힘을 자유롭게 사용합니다.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힘없는 자는 더 이상의 희망조차 잃어버립니다.
우리에게 '희망'이 존재합니까? 그리스도교는 이러한 상황에서 어떤 메시지를 던져야 합니까? 오히려 세상에서 교회가 지탄받는 모습에 가슴이 답답합니다. 어떻게 이러한 난관을 뚫고 나아가야 할지 난감합니다. 신학적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세계적 석학이자 현존하는 최고의 신학자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 그는 현대 사회의 문제 앞에 잠잠하지 않습니다. 풀 수 없는 실타래 같지만, 성경과 신학을 통해 차근차근 문제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그는 『희망의 신학』을 통해 '희망'이 사라진 것만 같은 세상에 큰 경종을 울립니다.
몰트만은 그리스도교의 종말론을 핵심에 두기를 원합니다. 자칫 변두리에 머물러 있던 종말론을 중심으로 가져오기를 원합니다. 이 책을 자신의 조직신학 시리즈 중에서 제일 처음 집필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저자는 우리가 희망할 수 있는 이유는 그리스도의 부활 때문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합니다.
우리가 희망하지 못하게 하는 여러 이유를 몰트만은 구체적으로 밝힙니다. 하나는 오만과 절망이요, 더 강력한 것은 현재만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몰트만은 파스칼, 괴테, 헤겔, 니체, 파르메니데스, 키르케고르, 에브너에 이르기까지 헬라적인 현재 개념이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다고 비판합니다.
몰트만은 그리스도교의 하나님은 엘(EL)이 아니라 야웨(JHWH)라고 강조합니다. 즉, 현재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전망을 제공해 주시는 새로움의 하나님이라는 것입니다. 저자는 극적으로 안셀름의 유명한 명제인 '지식을 추구하는 신앙'을 변용하여 '인식을 추구하는 희망'이라고 주장합니다.
기독교의 모든 선포와 그리스도인들의 실존과 교회는 종말론적 성격을 가집니다. 하나님께서 약속한 "미래의 문제"를 기본 문제로 삼습니다. 이러한 종말론에 대한 관점에 기초하여, 몰트만은 1장에서 현대신학자들이 취한 종말론의 무역사성을 비판합니다.
몰트만이 말하는 종말론은 역사적 종말론입니다. 역사적으로 종말론을 이해하자는 것이지요. 이것은 아직 존재하지 않지만 예수의 재림과 하나님 나라의 종말론적 현실을 해명하려 합니다. 하나님은 역사의 해석이 아닌 역사의 변혁을 원합니다. 그렇기에 기독교의 종말론은 하나님의 약속된 미래를 향한 기다림과 희망의 이론입니다.
몰트만은 “희망에 관한 이론으로서의 종말론”의 근거를 예수의 부활과 현현에서 발견하였습니다. 이제 몰트만은 성서가 증언하는 하나님을 “약속의 하나님”으로 파악하고, 하나님의 계시와 그리스도의 복음을 약속으로 이해함으로써 그의 종말론적 사고를 심화시킵니다.
판넨베르크의 역사신학과 함께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도 “역사”의 차원을 회복하고자 합니다. 하나님의 통치와 구원은 개인의 영혼은 물론 세계사의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몰트만은 판넨베르크처럼 보편사로서의 역사 해석에 관심을 두기보다, 하나님의 약속된 미래를 향한 역사의 변화에 관심을 가집니다.
기독교 신앙의 역사적 차원을 회복하고자 하는 몰트만은 역사에 의해 종말론이 폐기되거나 종말론에 의해 역사가 폐기되는 것을 거부합니다. 몰트만에 의하면 종말을 기다리는 희망을 통해 새로운 역사가 세워집니다. 이스라엘과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에 있어 역사는 하나님의 약속의 성취에 대한 희망으로 인해 열립니다.
몰트만은 마지막으로 이러한 희망의 신학을 어떻게 현실에 적용할지에 대해 고민합니다. 현대사회가 그리스도 공동체에 기대하는 역할이 있지만, 그러한 역할에 잠식당하거나 거기에 머물러서는 안됩니다. 그리하여 저자는 교회가 새로운 탈출을 감행해야 하며, 자신의 사회적 역할을 바빌론 포로 생활로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리스도교'의 본질과 목적은 자신만을 위한 것에 있지 않습니다. 교회가 그리스도를 기다리는 것은 자기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세상을 위해서입니다. '그리스도교'는 부활한 자의 통치로 살아가며, 죽음을 극복하고 생명과 공의와 하나님의 나라를 가져오는 자의 다가오는 통치로부터 살아가야 합니다.
'세계를 위한 교회'는 하나님의 뜻과 소원대로 세계를 위해 봉사하며, 세계 안에서 활동합니다. 교회는 세상에 하나님의 나라를 드러내야 합니다. 진정한 공의와 평화, 자유와 존엄성은 종말론적인 기대 지평 안에서 일어납니다. 교회는 오직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야 합니다.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을 세세하게 파악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그럼에도 철저하게 개인화되어 있고 내세 지향적인 모습으로 현실에서 희망을 제시하지 못하는 세계의 교회에게 큰 울림을 주었습니다. 이를 통해 그리스도인들 또한 종말론적 기대 가운데서 우리의 소명을 충실하게 감당할 수 있는 힘과 용기를 얻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