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추천도서

설교자가 쓴 산상수훈 해설서

설교자가 쓴 산상수훈 해설서
독일의 신학자 게르하르트 마이어는 <마태복음> 주석(진리의 깃발)에서 말하기를, “산상수훈에 접근하는 자는 거대한 첩첩산중에 들어가는 것 같은 느낌을 가진다. 이러한 산맥에서 계속해서 새로운 산 정상과 깊은 골짜기에 발견하게 되어 도전이 끊이지 않는다. 산상수훈에 대한 완벽한 해설집은 아직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다”라고 했다.
<산상수훈, 그 속에 길이 있다>의 저자 송다니엘 목사는 선교사 출신이다. 그는 한인 목회로 전향한 후, 설교를 위해 게르하르트 마이어의 마태복음을 한국어로 번역하며 큰 은혜를 받았다. 특히 산상수훈을 번역할 때는 기도하기 위해 자주 번역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예수님의 말씀이 내 마음에 날아와 꽂혀 나를 아프게 했다”고 그는 고백한다.
송다니엘 목사는는 산상수훈의 번역이 끝나자 즉시 이것을 나름대로 정리하여 교회와 신학교 그리고 다른 교회 사경회에서 가르쳤고, 내용을 조금씩 더해 보충했다. 이 과정에서 독일에서 나온 여러 저자들의 산상수훈을 읽고 부족한 기초를 더욱 공고히 하였다. 특히 한국인이 이해하도록 언어도 바꾸고 그가 느끼고 생각한 것도 추가했다. 그러다보니 이것이 독자적인 책이 되었다. 그럼에도 게르하르트 마이어 주석의 적지 않은 부분이 반영되었다.
저자에 의하면 산상수훈은 1) 메시아께서 그분의 왕국으로 초대하시는 초대장이다. 2) 교회에 주신 기본 교범(magna charta: 대헌장)이다. 산상수훈은 메시아께서 사람을 하나님 나라에 초청하시면서 그들이 그곳에서 지켜야 할 기본 교범으로 주신 것이다. 3) 구약율법의 해석이다. 산상수훈은 율법 해석의 모범을 보여준다. 예수님은 구약 율법 전체를 해석하지 않으시고, 그중에서 중요한 것과 당시 유대인들이 중대한 과오를 범하는 것들을 선정해서 해설하셨다. 4) 하나님의 영광스러운 말씀이다. 예수님은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시고, 이곳으로 사람들을 간절하게 초대하셨다. 산상수훈은 하나님의 빛이 찬란하게 드러난 영광스러운 말씀으로써 제자들의 마음을 끌어당긴다. 저자는 “우리는 산상수훈 전체 가르침에서 우리를 온전하게 만드시려는 하나님의 사랑을 확신해야 한다”라고 강조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산상수훈을 이해하는 하나의 중요한 열쇠는 종말론적 개념인 ‘이미’와 ‘아직’ 사이의 긴장이다. 예를 들면. 예수님이 마음이 가난한 자에게 주신 하나님 나라의 약속은 현세에서 이미(here and now) 실현되지만, 종말에 가서야 완결된다. 즉, 우리는 이미 지금 하나님의 다스림을 누리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부활하여 하나님 나라가 가시적으로 드러날 때 완전하게 실현된다. 우리가 이러한 긴장을 잘 이해하지 못하면 성경의 독특한 가르침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저자는 말한다.
또 한 가지 중요한 점은 산상수훈은 기독교 가르침의 전체를 다루고 있지는 않다는 점이다. 이것은 초기 가르침이므로 여기에는 아직 예수님의 대속적 죽음과 부활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다. 십자가를 지시기 바로 전인 요한복음의 고별설교(13:31-17:26)에 가서야 산상수훈에서는 다루지 않은 다음의 중요한 주제를 다룬다.
“산상수훈을 통해 하나님의 뜻을 급진적으로 지켜야 할 것을 강조하신 것과 가벼운 그리스도의 멍에로 초청하신 것은 모순이 아닌가? 그렇지 않다. 그분은 말할 수 없이 큰 영광과 사랑으로 성령님의 모습을 통해 우리 안에 계시며, 우리가 하나님의 뜻을 지키도록 도우시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영광과 사랑에 감동받아 자기를 죽이며 끊임없이 그리스도를 받아들인다”(355쪽).




